막연하게 비싸다고만 알고 있는 싱가포르의 생활 물가는 과연 어떤가?
기본 의식주 비용에 대한 지난 첫 번째 글에 이어 싱가포르 이주를 고민하는 분들에게 가장 큰 관심 대상이 될 교육비를 다루고자 한다.
교육비를 별도로 떼어 내서 언급하는 것은 고려 사항이 많기 때문이다. (학교 유형도 많고, 같은 유형 내에서도 선택의 폭이 넓은데, 내가 선택한다고 해서 다 되는 것이 아니라 그렇다)
필자의 경험이 싱가포르 내에서 대학교를 보내는 데까지는 닿지 않아 일부 한계가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유치원에서 중/고등학교까지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는 도움이 될 것이다.
- 개요
- 싱가포르에서의 학교 유형은 아주 크게 나눠서 세 분류가 있다. 필자는 세 분류 학교 모두 보내본 경험이 있다. (현지 학교는 유치원에 한정)
(1) 현지 학교
(2) 국제 학교
(3) 한국 국제 학교 - 장단점부터 살펴보자
(1) 현지 학교
장점 : 국제 학교 대비 저렴, 가격 대비 좋은 교육의 질
단점 : 외국인에게 너무 심하게 높여 받는 가격 (기분이 나쁨), 기본적으로 주입식 교육 방침, 외국인은 입학 순서가 밀려 입학 여부 예측 어려움
(2) 국제 학교
장점 : 확연한 창의성 교육, 영어 배우기에는 단연 최선
단점 : 비싸다 (게다가, 학비가 다가 아님), 극악의 가성비, 저렴한 국제학교는 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없음
(3) 한국 국제 학교
장점 : 교육부 지원을 받아 교육의 질 대비 무척 저렴, 한국어/영어 둘 다 사용
단점 : 한국어/영어 둘 다 애매해질 수 있는 가능성, 국제 학교 느낌 없음 - 학교에 대한 얘기는 하고 싶은 것이 많으나, 너무 글이 길어질 것 같아 장단점 정도만 살펴보고 이번 글에서는 가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 싱가포르에서의 학교 유형은 아주 크게 나눠서 세 분류가 있다. 필자는 세 분류 학교 모두 보내본 경험이 있다. (현지 학교는 유치원에 한정)
- 유치원
- 유치원은 그래도 외국인으로서 원하는 곳으로 입학이 용이 편이고, 현지 유치원 기준 가격 차별도 가장 덜하다.
- 현지 유치원의 경우, 자리가 없어 못 보내는 경우는 별로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가격은 위치, 시설 등에 따라 가격 차이가 꽤 나지만, 대략적으로 외국인의 경우 월 1,000 싱달러 정도 드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한다. 필자 개인적으로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간 600~700 싱달러를 내고 둘 째를 보낸 경험이 있다. 당시 다른 프랜차이즈 유치원을 알아봤을 때 1,500~2,000 싱달러까지 하는 곳들도 있었고, 현재도 비슷한 가격일 것으로 보인다.
- 국제 학교 유치원의 경우, 월 3,000 싱달러 이상을 잡는 것이 일반적이다 (SAS 같이 인기 많은 곳은 45,000 싱달러까지 들어간다). 사실 놀이 학교 수준에 불과한 유치원을 이 가격에 보내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 들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후 초등학교 이후에 웨이팅해서 보내는 것보다 훨씬 입학이 쉬운 편이라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보내는 경우가 있으며, 회사에서 혹시 지원해주는 경우는 why not이다.
- 한국 국제 학교도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합리적 가격에 괜찮은 질의 유치원 교육을 기대할 수 있다. 2024년 기준, 월 1,000 싱달러를 약간 넘는 수준이다. 아이가 한국어를 잘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면 좋은 옵션이 되나 영어 실력 향상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 유치원은 그래도 외국인으로서 원하는 곳으로 입학이 용이 편이고, 현지 유치원 기준 가격 차별도 가장 덜하다.
- 초등학교
- 초등학교부터는 입학 가능 여부 판단이 중요해진다.
- 현지 초등학교의 경우, 1학년으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지망하는 학교로 싱가포르 시민 -> 영주권자 순으로 지망 방식으로 채운 다음 남는 곳에 외국인을 배정해 준다. 외국인으로서는 선택권이 없다는 얘기다.
또한, 중간에 전학을 와야하는 경우 AEIS라는 영어/수학 시험을 별도로 치르고 성적에 맞게 정부가 배정해주는 학교로 가야해서, 외국인의 경우 학교를 선택해서 갈 수가 없다.
현지 초등학교에 다닐 때, 외국인 기준으로만 비용을 기재하면 아래와 같다.
(1) application fee (학교 지원 수수료) : 대략 50 싱달러 이내,
(2) registration fee (등록 수수료) : 대략 500 싱달러 이내,
(3) 학비 : 월 900 싱달러 수준
(4) facility fee (시설유지비) : 연 400 싱달러 이내 - 국제 학교의 경우, 과거에는 영어를 거의 못 하더라도 신청만 해도 입학이 원활히 되는 일종의 거쳐가는 학교들이 일부 있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대부분의 학교가 초등 단계에서는 기약 없는 웨이팅을 해야한다고 한다. 그래서 이주 일정이 어느 정도 잡히면 미리 이주 시점에 맞춰 학교에 신청을 해야 한다. 이런 어려움을 넘어서도 하기와 같은 각종 비용장벽들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1) application fee : 환불이 안되는 비용으로서 학교에 지원서를 내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다. 학교마다 차이는 있으나 대략 1,000~2,000 싱달러 정도 선에서 결정되는 걸로 파악된다.
(2) enrollment fee : 입학이 허가된 후 등록을 위해 지불해야 하는 비용으로, 학교 마다 다르나 3,000~6,000 싱달러 정도가 든다. (SAS는 거의 10,000 싱달러에 육박한다)
(3) school fee : 학비로서, 시설비를 포함하기도 별도로 하기도 한다. 시설비가 있는 경우 포함 기준 저렴한 곳은 연 25,000 싱달러, 비싼 곳은 연 50,000 싱달러 정도까지 내야 한다.
(4) school bus : 걸어서 또는 편리하게 대중교통으로 다닐 수 없는 경우 (국제 학교는 넓은 부지 확보를 위해 외곽 지역에 주로 분포), 스쿨버스를 이용해야 하는데, 거리에 따라 다르지만, 연 3,000 싱달러 가량 들어간다. 생각보다 부담이 크다.
(5) ESL fee : 아이의 영어 구사능력이 학습을 따라가는데 어려운 경우, 별도의 영어 선생님이 붙어서 영어를 가르치는데, 이 또한 비용이 생각보다 작지 않다. 학교에 따라 다르나 대략 연 2,000~6,700 싱달러가 부과된다.
(6) 기타 : CCA라는 과외 활동도 과목별로 비용이 청구되며, 수학여행, 특별 활동 등을 해외로 나가서 하는 경우가 잦은데, 이 또한 모두 학비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필자의 첫 째의 경우 모의 UN 행사에 참여했는데, 런던에 가서 하고 오느라 대략 4,500 싱달러를 부담했었다. 이런 일들이 1년에 한 번 정도씩은 있다. 또한, 별도로 점심 값을 1식당 7~8 싱달러 내야한다 (도시락을 싸지 않는 경우). - 한국 국제 학교의 경우, 한국적 정서에 맞게 많은 비용들이 학비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 비용 구조가 심플한데, (1) 등록비 3,000 싱달러 (GST 별도), (2) 학비 대략 연 14,000 싱달러, (3) 급식비 1식당 7싱달러 로 구성되어 있다. 스쿨버스를 별도로 운행하지 않아서 스쿨버스는 사설로 별도 어레인지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으나, 언덕에 있는 학교 특성 상, 인근 버스 정류장에서 무료 서틀을 운행한다.
- 초등학교부터는 입학 가능 여부 판단이 중요해진다.
- 중고등학교
- 위의 초등학교 내용과 유사하나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1) 현지 학교의 경우, 비평준화로 초등 졸업시험 성적에 따라 학교 입학 여부가 결정되며, 중간에 전학을 원하는 경우 역시 AEIS 시험을 봐서 학교에서 그 점수를 보고 받아줘야 입학을 할 수 있다.
(2) 국제 학교의 경우도, 초등학교를 다니다 학년이 올라가는 경우가 아니면 지원을 해서 순서가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순서가 와도 입학 시험에 합격해야만 입학이 허락된다. 비용 구조는 비슷하나 학년이 올라갈 수록 점점 가격이 올라간다. 워낙 처음부터 비쌌던터라 크게 체감이 안될 수 있으나 학비는 결국 연 40,000~50,000 싱달러에 수렴하는 듯 하다. (초등 저학년까지는 비교적 저렴했던 학교들도 중고등학교로 올라가면 대체로 유사해지는 경향이 있다)
(3) 한국 국제 학교도 초등학교와 크게 차이는 없으나, 중학교 TO는 많이 있고, 고등학교 TO는 주로 채워져있다. 한국 대학교에 대한 12년 특례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주로 다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진학 성과가 꽤나 좋은 편이라 인기가 있는것으로 보인다.
학비는 중학교 연 20,000, 고등학교 연 24,000 싱달러 수준이다.
- 위의 초등학교 내용과 유사하나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대략적으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1) 현지 학교 : 교육 철학에 동의하고 입학을 할 수 있다면 비교적 저렴하고 퀄리티 있는 교육이 가능
(2) 국제 학교 : 연 5천만원 + @ 가 크게 부담 없다면 (본인이 내든, 회사에서 내주든) 절대적으로는 가장 좋은 교육이라 봄 (다만, 너무 노는 것처럼 보일 수 있음)
(3) 한국 국제 학교 : 12년 특례를 노려본다거나, 한국어를 내 자녀가 잘 했으면 좋겠고 비용도 절약하고 싶다면 좋은 선택
역시 교육 관련해서는 정보가 너무 많아 계획 했던 교통비, 기타 비용 등에서는 다음 글을 통해 나눠보고자 한다.
간략한 교육 방식에 대한, 그리고 비용에 대한 정보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