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연하게 비싸다고만 알고 있는 싱가포르의 생활 물가는 과연 어떤가?
기본 의식주, 교육비 다음에 이어 설명할 물가 항목은 바로, 교통비이다.
싱가포르는 워낙 작은 나라이고 (동서가 긴 마름모꼴 형태의 나라 특성상 동-서 이동 거리가 제일 길다고 볼 수 있는데, 끝에서 끝까지 차 안막히는 고속도로로 달리면 40분 정도에 주파 가능), 구석구석 대중교통이 거의 안 닿는 곳이 없어 자차 소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는 낮다. 다만, 덥고 비가 자주 오는 날씨 탓에 여력만 된다면 누구나 차를 갖고 싶어한다.
하지만, 싱가포르는 교통 혼잡을 줄이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차량 소유에 대한 큰 장벽을 설치하고 있다.
1차적으로, 10년짜리 COE라고 하는 차량 운행 권리 사야만 운전을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1차적으로 차량 소유의 부담을 엄청 나게 높인다. COE는 10년 만료가 되는 물량을 주기적으로 모아서 경매 방식으로 판매하는데, 최근에는 그 가격이 최대 14만 싱달러에 달하기도 하였다.
또한, 높은 세금과 수입관세까지 차 값에 더해져 타 국가 대비 차량 가격 자체가 2~3배가 된다.
그리하여, 어떤 차량을 구입하든지 간에 최소 2억원 정도는 지불해야 차를 소유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을 이용하여 받는 서비스는 비싸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싱가포르 정부는 차량 소유 여력이 되지 않는 일반 서민들을 위해서 대중 교통을 매우 잘 마련해두고 있고, 가격은 물가 대비 매우 싸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차량공유 서비스를 적극 도입하여 그 중간 지대도 일부 메우고 있다.
결론적으로 크게 교통편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고, 편의도에 따라 가격도 나뉜다
- 자차 소유
- 앞서 얘기했듯, 가장 편리하고 빠른 교통편이다. 반면, 가격도 가장 비싼 형태이다.
- 리스를 하는 경우 가장 저렴한 엔트리 모델조차 리스료 (보험료 포함), 기름 값, 주차비 등을 감안하면 최소 2,000 싱달러 가량은 지불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 차량 공유 서비스/택시
- 차를 소유할 여력은 없지만 필요에 따라 차량이 필요한 경우 이용할 수 있는 교통편은 차량 공유 서비스나 택시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 싱가포르에서는 Grab, Gojek, Tada와 같은 차량 공유 (Ride-hailing)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고, 건물마다 타고 내리는 곳이 지정되어 있어 매우 간편하게 차량을 호출할 수 있다.
- 가격의 경우, 수급에 따라 매우 유동적인데, 필자의 경험상 한국의 기본요금 급 짧은 거리는 8 싱달러 정도, 15~20분 거리는 대략 15~20 싱달러 정도라고 보면 될 것 같다. 다만, 수요가 매우 적은 시간에는 대략 30% 가량 싸지고, 수요가 매우 몰리는 시간에는 간혹 2배까지도 가격이 오르곤 한다.
- 택시도 요금은 대체로 비슷한 편이나, 기본적으로 rating 시스템이 부족하여 택시 청결도가 떨어지는 편이며 운전기사 분들도 대부분 노인인 경우가 많아 택시 이용 경험이 좋지는 않다.
- 대중교통
- 지하철 (MRT), 버스가 싱가포르 전역에 걸쳐 잘 배치가 되어 있어 차가 없이도 생활에 큰 불편함이 없다. 다만, 많은 경우 시간과 수고를 들여야 해서 돈과 시간/수고를 바꾸는 느낌이 들 때가 종종 있게 된다.
- 비용은 물가 대비 매우 저렴한 편으로 기본 요금은 교통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1.09 싱달러에 불과하고, 꽤 멀리가도 2 싱달러 내외의 요금이 부과된다. 게다가, 학생, 노인의 경우 이에 할인이 들어간다.
필자의 경우, 6년 째 싱가포르에 거주하고 있지만, 차량을 보유한 적 없이도 교통에 큰 불편 없이 지내고 있다. 처음에 자차가 없어 매우 불편했고, 대중교통으로 날리는 시간이 아까웠지만 한국 대비해서 여유로운 사회 분위기 (시간에 쫓기는 경우가 덜함), 좁은 나라 특성상 어딜 가도 대중 교통으로도 1시간 이내로 갈 수 있다는 특성에 익숙해지며 차를 소유하는 것이 더 아깝게 느껴진다. 또한, 많이 걸어다니게 되어 기본적인 걷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도 나름대로의 장점인 듯 하다.
결론적으로 싱가포르의 교통비를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대중 교통은 매우 싸다, 그러나 개인적 교통편 이용은 매우 비싸다로 요약할 수 있겠다.
다음은 생활하면서 또 할 얘기가 많은 의료비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다.
답글 남기기